컴퓨터의 발전과 기반 지식
정오식 문제
1. 천공카드는 미국의 홀러리스가 개발하였는데, 일괄처리의 효시가 되었고 미국 국세 조사 업무의 자료 처리에 사용되었다. (O)
2. 제2세대 컴퓨터에 사용된 컴퓨터 회로는 주로 진공관이다. (x)
5. IBM S/360부터 제3세대 컴퓨터 시대로 분류되는 핵심적 동기는 기억 장치 소자로 집적 회로의 사용이다. (o)
6. IBM S/360은 시분할 방식을 사용하였고 기업, 정부, 기관들의 컴퓨터 수요에 부응하여 엄청난 성공을 거둔 컴퓨터이다. (x)
7. 제4세대 컴퓨터는 통상 1971년부터 현재까지이고, 제 5세대 컴퓨터는 현재진행형이다. (o)
8. 디지털 컴퓨터는 연속적인 자료 데이터형식을 가진다. (x)
9. IBM은 데스크탑 컴퓨팅을 통하여 마이크로컴퓨터의 표준으로 자리매김을 하였다. (o)
10. 하이브리드 컴퓨터는 디지털 컴퓨터의 장점을 모아 만든 컴퓨터이다. (o)
11. 바이트(byte)는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최소의 단위로서 0이나 1을 나타낸다. (o)
12. 아스키(ASCII) 코드는 미국 정보 교환 표준 코드로서 미국표준협회가 제정한 데이터 처리 및 통신 시스템 상호 간의 정보 교환용 표준 코드이다. (o)
13. 컴퓨터에서는 덧셈만 가능하므로 뺄셈의 경우에는 보수를 이용하여 덧셈으로 변환하여 계산하게 된다. (o)
14. 10진수는 2진수, 8진수, 16진수로 항상 변환이 가능하다. (o)
16. 부동소수점 데이터형식은 실수를 표현하는데 사용되며, 부호, 지수부, 가수부로 나누어 표현한다. (o)
17. 유니코드(UNICODE)는 한글만을 위한 코드 체계가 아닌, 전 세계 언어를 하나의 코드 체계 안으로 통합하려는 컴퓨터 업체들의 협의에 의해 만들어진 코드이다. (o)
18. 논리곱 회로는 논리곱 조건을 만족하는 회로로서 2개의 조건 중 1개만 만족해도 되는 경우이다. (x)
단답식/선택식 문제
1. 폰 노이만은 (프로그램 내장 방식 )을 최초로 도입한 컴퓨터인 에드박을 개발하였다.
3. 디지털 컴퓨터와 아날로그 컴퓨터를 결합한 모델은( 하이브리드 ) 컴퓨터이다.
4. 제1세대 컴퓨터의 회로는( 진공 ) 이었으며, 제3세대 컴퓨터의 회로는( 집적회로 )이었다.
7. 개인용 컴퓨터로 알려진 ( 마이크로 컴퓨터 )는 1980년대 초반에 IBM에 의해 처음으로 만들어졌다.
8. 영문 1글자를 저장하는 단위로서 8개의 비트로 이루어지는 것은 (바이)이다.
9. 다음 중 컴퓨터의 사용 목적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② )
① 특수용 컴퓨터 ② 범용 컴퓨터
③ 디지털 컴퓨터 ④ 개인용 컴퓨터
10. 다음 중 디지털 컴퓨터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것은? ( ③ )
① 전압이나 전류 등의 양 ② 연속적 자료
③ 이진수의 코드화된 숫자 ④ 곡선의 그래프
11. 다음 중 제3세대 컴퓨터의 회로에 속하는 것은? ( ① )
① 집적 회로 ② 트랜지스터 ③ 진공관 ④ 초고밀도 집적회로
12. 다음 중 제3세대의 특징이 아닌 것은? ( ④ )
① 집적 회로(IC) ② VLSI
③ 테이프, 디스크 ④ BASIC, Lisp, Pascal
14. 다음 중 제4세대 컴퓨터의 특징이 아닌 것은? ( ③ )
① ULSI ② 고밀도 집적 회로
③ 초당 명령어 처리 개수는 수억 개 ④ 4GL
15. 다음 중 인공지능 언어가 사용되는 세대는? ( ④ )
① 제2세대 ② 제3세대 ③ 제4세대 ④ 제5세대
16. 다음 중 메모리의 용량이 가장 큰 단위는? ( ① )
① TB ② FB ③ MB ④ KB
17. 다음의 설명 중 맞지 않은 것은? ( ④ )
① 비트는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최소의 단위로 0이나 1을 나타낸다.
② 고정 소수점 데이터 형식은 정수의 표현에 사용되며 2바이트 또는 4바이트 영역으로 표시한다.
③ 1MB(Mega Byte)는 220바이트로 약 백만 바이트이다.
④ 바이트는 영문자 1글자를 나타내는 단위로 통상 16비트로 이루어진다.
18. 다음 중 한글과 한자 데이터의 표현방식이 아닌 것은? ( ② )
① 완성형(KSC 5601) ② BCD 코드
③ 조합형 ④ 유니코드(UNICODE)
19. 다음 중 2진수 (11010)2을 10진수로 변환한 값은? ( ② )
① 13 ② 26 ③ 30 ④ 28
21. 다음 중 8진수 (4450)8을 16진수로 변환한 값은? ( ③ )
① 92B ② 929
③ 92A ④ 928
22. 다음의 이진수 (1010)2을 1의 보수로 변환하면? ( ④ )
① 1011 ② 1001
③ 0101 ④ 0110
23. 다음의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 ① )
① 아스키 코드는 패리티 비트 1개, 존 비트 4개, 디지트 비트 3개로 구성된다.
② 부동 소수점 데이터 형식은 4바이트 실수형과 8바이트 실수형이 있다.
③ 부동 소수점 데이터 형식의 가수부는 소수점 지수부와 가수부 사이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④ 고정 소수점 데이터 형식에서 음수의 경우 부호와 절댓값의 표현법으로 2의 보수법을 많이 사용한다.
24. 미국 정보 교환 표준 코드로서 1개의 패리티 비트와 7비트로 이루어지는 코드는? ( ② )
① BCD 코드 ② ASCII 코드 ③ EBCDIC 코드 ④ UNICODE
25. 다음에서 입력 A와 B의 값이 모두 1인 경우에만 출력이 1이 나오는 논리 회로는 무엇인가? ( ② )
① OR gate ② AND gate ③ NOT gate ④ NAND gate
-------------
2장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
정오식 문제
1.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종류에는 운영체제, 언어 번역 프로그램, 유틸리티 등이 있다. ( O )
2. 컴퓨터의 내부 구조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은 주기억 장치뿐이다. ( x )
3. 입력 장치란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나 그림 등의 데이터를 컴퓨터로 전달하는 장치를 말한다. ( O )
4. 보조기억 장치는 프로그램 기억 장소, 작업 장소, 입력 데이터 기억 장소, 출력 데이터 기억 장소로 구성되며 내부 기억 장치라고도 한다. ( x )
5. 언어번역 프로그램인 컴파일러는 펌웨어에 속한다. ( x )
6. 파일을 압축하거나 디스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프로그램은 유틸리티에 속한다. ( O )
7. 펌웨어는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RAM에 들어있는 기본적인 프로그램이다. ( x )
8. 실행 사이클은 데이터를 페치하고 명령어를 실행하는 CPU의 사이클 중 하나이다. ( O )
9. MAR은 주소 해독기에 의해 해독된 실행 데이터 주소를 임시로 기억하는 제어용 레지스터이다. ( O )
10. MBR은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의 약자로서, 모든 자료가 거치게 되는 자료 출입용 레지스터이다. ( O )
11. 동적 RAM은 정적 RAM보다 접근 속도가 빠르다. ( x )
12. ROM은 전원이 끊어지면 기억된 내용이 모두 지워지는 휘발성 메모리이다. ( x )
13. CISC란 수행 속도를 높이기 위해, 처리하는 명령어의 수를 줄이고 단순한 명령어 구조를 취한 CPU를 의미한다. ( x )
14. 마이크로프로세서 중 인텔 계열과 모토롤라 계열은 서로 호환이 가능하다. ( O )
15. PowerPC와 같은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인텔 계열이 아니라 모토롤라 계열에 속하며 주로 애플컴퓨터의 매킨토시 계열에 주로 사용된다. ( x )
16. 최근 삼성전자에서 첨단 공법으로 3nm 파운드리 칩이 생산되고 있다. 이때 나노는 1/10만 m에 해당한다. ( O )
17. 버스의 대역폭이 크면 자료의 송수신이 더 빠르고 효율적이다. ( O )
단답식/선택식 문제
1. 최근에 널리 쓰이기 시작한(플래시 메모)는 USB 드라이브, MP3 플레이어, 인터넷폰, 디지털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등 주로 휴대용 정보통신기기의 메모리로 사용된다.
2. (주기억장치)는 프로그램 기억 장소, 작업 장소, 입력 데이터 기억 장소, 출력 데이터 기억 장소로 구성되는데, 내부 기억 장치라고도 한다.
3. (펌웨어)란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ROM에 들어 있는 기본적인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예로 BIOS가 있다.
4. (SSD)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대체할 차세대 저장 매체로서, HDD보다 가볍고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르며 낮은 전력 소모와 안정성이 장점이다.
5.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많이 쓰이고 있는 Core i3, Core i5는 (인텔) 계열에 속한다.
6. 컴퓨터의 (버스)란 컴퓨터 내부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하며 16비트, 32비트 등이 있다.
7. 기억 장치의 계층 중 최상위에 위치하며, 가장 속도가 빠른 기억 장치는 무엇인가? (캐시메모리)
8, 기억 장치의 명령어를 호출하는 단계를 무엇이라 하는가? (디코딩)
9. 주기억 장치에 있는 명령어를 임시로 저장하는 레지스터는 무엇인가? (IR)
10. 소프트웨어를 하드웨어화 시킨 것으로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중간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인가? (펌웨어)
11. 하드웨어와 운영체제의 중간에 위치하여 장치를 동작시키는 장치는 무엇인가? (드라이버)
12. 주어진 명령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로서 사람이 두뇌에 해당하는 컴퓨터 내의 장치는 무엇인가? (중앙처리장치)
13. 주기억 장치에 있는 명령어를 임시로 기억하며 모든 자료가 거치게 되는 자료출입용 레지스터는 무엇인가? (MBR)
14. 중앙처리 장치 내의 주요 장치로서 연산과 관련된 자료들을 처리하는 장치는 무엇인가? (산술논리장치 (ALU))
15. 개인이 간단히 휴대할 수 있는 소형의 기억 장치로서, 공인인증 등 보안인증서보관에 많이 쓰이는 것은 무엇인가? (스마트카드)
16. 다음 중 컴퓨터의 기본 시스템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 ④ )
① 중앙처리 장치 ② 기억 장치 ③ 입출력 장치 ④ 소프트웨어
17. 다음 중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속하지 않는 것은? ( ① )
① 그래픽 툴 ② 어셈블러
③ Windows 10 ④ 파일 압축 유틸리티
18. 다음 중 하드웨어적 성격이 가장 적은 것은? ( ③ )
① 중앙처리 장치 ② 펌웨어
③ 입력 장치 ④ 보조기억 장치
19. 다음 중 입력 장치에 속하는 것은? ( ④ )
① 모니터 ② 플로터
③ 스피커 ④ 스캐너
20. 다음 중 출력 장치에 속하는 것은? ( ③ )
① 키보드 ② 마우스
③ 그래픽카드 ④ 터치스크린
21. 다음 중 언어번역 프로그램의 종류가 아닌 것은? ( ② )
① 어셈블러 ②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
③ 컴파일러 ④ 인터프리터
22. 다음 중 명령어 사이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④ )
① 실행 사이클 ② 페치 사이클 ③ 기억 사이클 ④ 인터럽트 사이클
23. 다음 중 주로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는 무엇인가? ( ③ )
① MBR ② IR ③ MAR ④ GPR
24. 중앙처리 장치와 주기억 장치 간의 속도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고속의 메모리는 무엇인가? ( ① )
① 캐시기억 장치 ② SRAM ③ DRAM ④ USB
25. 다음 중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속하지 않은 것은? ( ④ )
① 운영체제 ② 유틸리티 ③ 펌웨어 ④ 언어 번역 프로그램
26, 다음 중 정적 RAM의 특징으로 볼 수 있는 것은? ( ④ )
① 집적도가 높고 가격이 저렴하다.
② 일정한 주기로 재기억시켜야 한다.
③ 주로 주기억 장치로 사용된다.
④ 고속이며 전원만 있으면 계속 기억된다.
27. 다음에서 프로그램의 내용을 지우거나 변경하기가 유연한 ROM은 무엇인가? ( ④ )
① ROM ② Mask ROM ③ PROM ④ EPROM
28. 다음에서 주기억 장치로 별로 쓰이지 않는 것은? ( ④ )
① 동적 RAM ② USB ③ VRAM ④ 조셉슨 소자
29. 다음의 보조기억 징치 중 처리 속도가 가장 빠른 것은? ( ② )
① 하드디스크 ② SSD ③ USB ④ CD-ROM
30. 다음 중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속하지 않는 것은? ( ① )
① SSD ② 펜티엄 IV ③ Core i3 ④ 80386
31. 다음 중 초기의 중대형 컴퓨터에 사용되던 보조기억 장치는? ( ① )
① 자기 드럼 ② 하드디스크 ③ USB Flash Drive ④ CD-RW
32. 플래시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동이 편리한 저장 장치로 크기가 작아 휴대하기도 매우 간편하며 큰 용량의 파일을 가지고 다닐 때나 파일을 옮길 때 편리한 보조기억 장치는 무엇인가? ( ④ )
① DVD-RAM ② CD-ROM
③ Zip ④ USB Flash Drive
33. 다음 중 CISC 계열에 해당하는 것은? ( ② )
① 명령어의 수를 줄인 것 ② 인텔 계열
③ 주로 워크스테이션에 쓰임 ④ 비교적 단순화된 명령어로 구성
주관식 문제
1.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를 설명하고 그 차이점을 밝히시오.
2. 컴퓨터를 구성하는 하드웨어 장치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각각 그 역할은 무엇인지를 설명하시오.
3. MAR과 MBR을 각각 간단하게 설명하시오.
4. 중앙처리 장치와 캐쉬기억 장치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시오.
5. 주기억 장치란 무엇이며 또 어떤 종류들이 있는지를 설명하시오.
6. ROM과 RAM을 각각 설명하고 차이점을 비교하시오.
7. 기억 장치도 속도의 빠르기에 따라서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는데 간략히 그림으로 그리고 설명하시오.
8. 버스를 설명하고 버스의 종류를 나열하시오.
9.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의 기능과 종류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10, 최근 인텔과 삼성전자의 최신 칩 개발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시오.
---------------------
5장 컴퓨터 운영의 지휘자 운영체제
정오식 문제
1. 운영체제에서 프로세스와 커널은 비슷한 개념이다, ( X )
2. 주기억 장치는 기억 장소의 할당, 빈 공간의 관리, 디스크 스케줄링 등을 담당한다. ( X )
3. 운영체제는 부트스트랩 프로그램에 의해 컴퓨터에 적재된 후 컴퓨터 내의 다른 응용 프로그램들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으로서 통상 약자로 OS라고 한다.
4. 일괄처리 방식은 여러 가지 형태의 업무들을 모아서 일괄적으로 차례대로 처리하는 방식이다.
5.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 여러 개의 작업을 수행해야 할 때는 기억 장치 영역을 할당하고, 주어진 작업을 끝마쳤을 때는 빈 기억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6. Windows 10은 기존의 PC, 노트북, 태블릿뿐만 아니라, 대형 TV를 비롯한 가전제품, 사물인터넷까지 다양한 플랫폼을 위한 운영체제라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7. GNU는 소프트웨어의 자유로운 배포와 개발의 자유를 추구하는 모임이라 할 수 있다.
8. UNIX는 대부분 유료이며 그 구조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 X )
9. Linux는 소스 코드가 공개되지 않은 운영체제이다. ( X )
12. 최근의 일부 운영체제들은 컴퓨터들이 전산망을 통해 개방형으로 운영되므로 보안 기술의 중요성이 감소하였다.
14.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OS는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컴퓨터에서도 사용되는 운영체제이다. ( X )
16. 안드로이드는 일반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아이폰에도 적용되는 모바일 운영체제이다. ( X )
단답식/선택식 문제
1. ( OS 운영체제 )란 인간과 컴퓨터 간의 중간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하는 프로그램이다.
2. ( 메모 ) 관리는 어떤 프로세스가 언제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을지를 결정하고, 상태의 바뀜에 따른 기억 장치 할당과 빈 기억 공간을 추적한다.
3. ( 프로세 )란 현재 컴퓨터 기억 장치 상에서 실제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상태를 말한다.
4. ( PCB )란 프로세스가 작업 도중 필요한 정보나 스케줄에 필요한 여러 가지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구조체이다.
5. ( 버퍼 )은 입출력 장치의 느린 속도를 보완하는 방법 중 하나인데, 버퍼들을 사용하여 임시 보관함으로써 중앙처리 장치와 입출력 장치들의 작동에 지연이 없도록 해준다.
6. 시스템에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그것을 운영체제에 알려주는 메커니즘은 ( 인터럽 )이다.
7. ( 커널 )은 응용 소프트웨어와 컴퓨터 하드웨어를 연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8.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주기억 장치에 적재하여, 한 프로그램이 입출력 등의 작업을 할 때 중앙처리 장치를 쉬게 하지 않고 다른 프로그램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전체적인 성능을 올리는 방식을 ( 다중 ) 프로그래밍이라 한다.
10. ( 리눅스 )는 UNIX와 유사한 형태의 OS로 GNU란 단체가 지지하고 있으며, 무료이고 발전 속도가 빠르다.
11. 안드로이드 OS는 구글이 개발한 리눅스 기반의 ( 개방형 ) 모바일 운영체제이다.
12. 어떤 제품에 추가로 탑재되어 그 제품 안에서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솔루션을 ( 임베디 ) 시스템이라 한다.
13. 여러 사용자들이 한 컴퓨터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CPU 운영 시간을 잘게 쪼개어서 여러 사용자들에게 골고루 처리 시간을 제공하는 시스템 방식은 무엇인가? (시분할시스템)
14. 부분적으로 일어나는 장애를 시스템이 즉시 찾아내어 순간적으로 복구함으로써 시스템의 처리 중단이나 데이터의 유실 또는 훼손을 막을 수 있는 시스템 방식은 무엇인가? (결함허용시스템)
15. 최근 들어 첨단 기능이 포함된 냉장고와 세탁기 등 가전제품, 스마트폰, 엘리베이터, 자동차, 전기밥솥 등에 들어가는 운영체제는? (임베디드시스템)
16. 다음 중 순서가 맞는 것은? ( ① )
① 하드웨어 → 운영체제 → 응용 프로그램 → 사용자
② 하드웨어 → 응용 프로그램 → 운영체제 → 사용자
③ 운영체제 → 하드웨어 → 응용 프로그램 → 사용자
④ 하드웨어 → 사용자 → 운영체제 → 응용 프로그램
17. 다음 중 운영체제의 목표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④ )
① 수행 중인 프로그램들의 효율적인 운영을 도와준다.
② 오류가 발생하면 오류를 원활하게 처리한다.
③ 작업 처리 과정 중에 데이터를 공유한다.
④ 컴퓨터 내의 하드웨어 자원들만 관리하고 제어하는 일을 담당한다.
18. 다음 중 운영체제가 관리하는 자원에 속하지 않는 것은? ( ② )
① 프로세스 관리 ② 사용자 관리
③ 주기억 장치 관리 ④ 입출력 장치 관리
19. 다음 중 운영체제가 상주하는 곳은 어디인가? ( ② )
① 프로세스 관리 ② 사용자 관리
① 중앙처리 장치 ② 주기억 장치 ③ 보조기억 장치 ④ 입출력 장치
20. 다음 중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이라 보기 어려운 것은? ( ③ )
① 중앙처리 장치 ② 주기억 장치 ③ 알파고 ④ 입출력 장치
21. 다음 중 커널과 관련이 적은 것은? ( ④ )
① 자원을 관리하는 모듈의 집합이다.
② 메모리 관리 등을 담당한다.
③ 응용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연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④ 운영체제와 관련이 없다.
22. 다음의 운영체제 유형 중 가장 초기에 사용된 것은? ( ① )
① 일괄처리 시스템 ② 시분할 시스템
③ 실시간 시스템 ④ 결함허용 시스템
23. 정해진 짧은 시간 내에 응답하는 시스템 방식으로서 군사용이나 공업용 프로세서의 제어, 예약 시스템, 은행 업무 처리, 증권 서비스 등에 이용하는 운영체제 시스템은? ( ④ )
① 결함 허용 시스템 ② 일괄 처리 시스템
③ 시분할 시스템 ④ 실시간 시스템
24. 다음의 운영체제 유형 중 여러 사용자들이 CPU 운영 시간을 골고루 나누어서 사용하는 방식은? ( ④ )
① 시분할 시스템 ② 일괄처리 시스템
③ 실시간 시스템 ④ 결함허용 시스템
25. 다음 중 모바일 운영체제가 아닌 것은? ( ③ )
① 블랙베리 ② 안드로이드
③ Windows 10 ④ 바다
26. 다음 중 임베디드 OS에 속하는 것은? ( ① )
① Windows CE ② 안드로이드
③ 타이젠 ④ Windows 10
27. 다음 중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는 운영체제는? ( ③ )
① Windows 8 ② Windows 10
③ DOS ④ Linux
28. 다음에서 소스 프로그램이 외부에 공개되는 운영체제는? ( ① )
① UNIX ② Windows 8
③ iOS ④ Windows 10
주관식 문제
1. 운영체제란 무엇인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사이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설명하시오.
운영체제가 하는 일은 하드웨어를 직접 제어하는 일을 담당함. 따라서 어떤 종류의 컴퓨터에도 한 개 이상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존재해야만 하는데, 보통 Windows나 리눅스 등을 많이 사용함.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사이에서 존재하는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가 하드웨어를 사용할 때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2. 주요 운영체제의 종류를 나열하고, 각각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
Windows, Unix, Linux, MacOS 계열 등이 있는데 설명은 교재 참조
3. 운영체제의 처리 형태 중 다중 프로그래밍 설명하시오.
하나의 CPU로 동시에 두 개 이상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함. 실제로 CPU가 여러 개의 일을 동시에 하는 것은 아니며 시간을 나누어서 번갈아 가며 실행하는데 사용자는 이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처럼 느낌
4. UNIX는 다른 운영체제에 비해 독특한 면들을 상당수 가지고 있다. UNIX의 주요 특성들을 나열하고 설명하시오.
- 전문 프로그래머를 위해 개발되어 단순성과 강력성 등의 강점을 포함
- 고급 언어로 만들어져 기종 간의 호환성과 개발의 용이성을 확보
- 오픈 소스로 공개하였기 때문에 연구용이나 대학에서 많이 쓰이고 발전하게 됨
- 다중 사용자의 지원으로 여러 명의 사용자가 사용 가능 등
5. Linux의 장단점을 간략하게 설명하시오.
UNIX의 모든 장점을 물려받은 Linux의 최대 장점은 '무료'로 완전한 오픈 소스란 점. 하지만 책임 있는 개발자가 없다는 단점이나 현재에도 계속 발전하고 있는 운영체제이기 때문에 Linux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DIY 정신을 많이 요구함
6. Windows 10의 주요 특징을 3가지 정도 적으시오.
① Windows 7과 Windows 8의 시작 버튼을 혼합시킨 새로운 형태의 시작 버튼
② 창 화면으로 작동되는 메트로 앱
③ 새로운 테스크 뷰 버튼과 멀티 데스크탑
④ 스냅 기능과 향상 빠른 파일 검색
7. 자신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의 운영체제를 살펴보고 주요 특징들을 설명하시오.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Windows 8이나 Windows 10을 사용하며, Linux를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8. 모바일 OS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각각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
➀ 안드로이드 OS: 구글이 개발한 리눅스 기반의 모바일 운영체제로서 개방형으로 누구나 수정하고 개발 가능한 오픈소스이다.
➁ 아이폰 OS: 애플이 개발한 Mac 기반의 모바일 운영체제이다. 현재 아이폰 OS는 스마트폰의 핵심기능인 애플리케이션을 많이 다양하게 보유하고 있다.
➂ 블랙베리 OS: RIM이 블랙베리 스마트폰을 위해 개발한 운영체제로서, 업무에 특화된 비즈니스용 스마트폰이라고도 불린다.
➃ 윈도우즈 모바일 OS: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모바일용 운영체제로서, 일반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윈도우 OS와 인터페이스가 매우 유사하여 사용자에게 익숙하며 편리하고, 호환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9. 임베디드 시스템을 설명하고 간단한 예를 드시오.
임베디드 시스템이란 어떤 제품에 추가로 탑재되어 그 제품 안에서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솔루션을 말한다. 가령 전화가 주요 용도인 스마트폰에 TV 기능이 들어가 있는 경우 TV 기능이 곧 임베디드 시스템이다. 즉 본 시스템에 내장된 시스템을 말한다.
10. 입출력 프로그래밍에서의 버퍼링을 설명하시오.
통상적으로 입출력 장치나 보조기억 장치는 기계적 요인으로 인해 중앙처리 장치보다 훨씬 느린 속도로 작동한다. 버퍼링은 입출력 장치의 이와 같이 느린 속도를 보완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서 버퍼(buffer)들을 사용하여 임시 보관함으로써 중앙처리 장치와 입출력 장치들의 작동에 지연이 없도록 해준다.